코브라 베르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브라 베르데는 19세기 말 브라질의 목장주 프란시스코 마누엘 다 실바가 노예 감독관으로 고용된 후 서아프리카 다호미에서 노예 무역을 벌이는 내용을 그린 영화이다. 가뭄으로 농장을 잃은 다 실바는 상관을 살해하고 코브라 베르데라는 악명을 얻게 된다. 이후 그는 부유한 설탕 재벌의 세 딸을 임신시키면서 불가능한 임무를 맡아 아프리카로 향한다. 다호미의 왕과 협력하여 노예 무역을 시작하지만, 결국 새로운 왕의 호의를 잃고, 노예제 폐지 소식을 접하게 된다. 이 영화는 브루스 채트윈의 소설을 기반으로 하며, 베르너 헤어초크가 클라우스 킨스키와 함께 제작한 마지막 작품으로, 촬영 중 두 사람의 갈등으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나에서 촬영한 영화 - 국적 없는 짐승들
캐리 조지 후쿠나가 감독의 영화 《국적 없는 짐승들》은 우조딘마 이웨알라의 소설을 원작으로, 서아프리카 내전 속 소년병의 잔혹한 현실을 그린 전쟁 드라마이며 아브라함 아타와 이드리스 엘바가 주연을 맡아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어 호평을 받았다. - 브라질에서 촬영한 영화 -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2016년 개봉한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는 마블 코믹스 원작의 슈퍼히어로 영화이자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13번째 작품으로, 어벤져스 규제 협정을 둘러싸고 캡틴 아메리카와 아이언맨 중심으로 팀이 분열하며 벌어지는 갈등을 그린 작품이다. - 브라질에서 촬영한 영화 - 유나이티드 패션즈
유나이티드 패션즈는 FIFA의 자금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지만, FIFA의 역사와 회장들의 역할을 다룬 2014년 영화로, 부패 스캔들과 맞물려 비판과 혹평을 받으며 흥행에 실패했다. - 베르너 헤어초크 감독 영화 - 피츠카랄도
피츠카랄도는 1982년 개봉한 영화로, 20세기 초 아마존 분지에서 오페라 하우스를 건설하려는 아일랜드인 브라이언 스위니 피츠제럴드의 이야기를 다루며, 320톤 증기선을 언덕 위로 옮기는 장면을 특수 효과 없이 촬영했다. - 베르너 헤어초크 감독 영화 - 레스큐 던
《레스큐 던》은 베르너 헤어초크 감독이 디터 뎅글러의 실화를 바탕으로 베트남 전쟁 중 라오스에서 격추된 미국 해군 조종사의 탈출기를 그린 2006년 생존 드라마 영화로, 크리스찬 베일, 스티브 잔, 제레미 데이비스 등이 출연하여 포로 생활의 잔혹함과 인간의 생존 의지를 묘사하며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코브라 베르데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Cobra Verde, Slave Coast |
장르 | 모험 드라마 |
감독 | 베르너 헤어조크 |
제작 | 럭키 스티페틱 발터 작서 |
각본 | 베르너 헤어조크 |
원작 | 브루스 채트윈의 우이다의 총독 |
출연 | 클라우스 킨스키 킹 암파우 호세 레우고이 |
음악 | 포폴 부 |
촬영 | 빅토르 루지치카 |
편집 | 막시밀리아네 마인카 |
배급사 | 베르너 헤어조크 필름프로덕션 |
개봉일 | 1987년 12월 3일 |
상영 시간 | 111분 |
제작 국가 | 서독 가나 |
언어 | 독일어 |
2. 줄거리
19세기 말, 브라질의 목장주 프란시스코 마누엘 다 실바(클라우스 킨스키)는 가뭄으로 농장이 망하자 금광 회사에서 일하게 된다. 착취당하던 그는 상관을 살해하고 악명 높은 산적 '코브라 베르데'가 된다. 다 실바는 우연히 탈출하는 노예를 제압하고, 이를 본 부유한 설탕 재벌 돔 옥타비오 코우티뉴(호세 레고이)는 그를 자신의 농장 노예 감독관으로 고용한다. 다 실바가 돔의 세 딸을 모두 임신시키자 돔은 분노하지만, 그가 코브라 베르데라는 사실을 알고는 서아프리카와의 노예 무역을 재개하는 불가능한 임무를 맡긴다.
등장인물은 주연과 조연으로 나뉜다. 주연 배우로는 클라우스 킨스키가 프란시스코 마누엘 다 실바 역, 킹 앰파우는 타파리카 역, 조제 레고이는 돈 오타비오 쿠티뉴 역을 연기했다. 살바토레 바실레는 프라테르니다데 대위 역, 페터 베를링은 베르나베 역, 베니토 스테파넬리는 페드로 비센테 대위 역, 카를로스 마요로는 바이아주 주지사 역을 맡았다.
다 실바는 서아프리카 다호미(현재의 베냉)로 가서 왕 보사 아하디(아킴, 가나 북쪽 마을인 네인의 명예로운 오만헤네 나나 아기에피 콰메 2세가 연기)와 협상하여 노예 무역을 성사시킨다. 엘미나 성을 장악하고 브라질로 노예 무역을 시작한다. 보사 왕은 다 실바를 모함하여 사형을 선고하지만, 다 실바는 왕의 조카와 혈맹을 맺고 다호미 아마존 여전사들을 훈련시켜 왕을 전복시킨다. 노예 무역은 계속되지만, 다 실바는 결국 새로운 왕의 호의를 잃고, 브라질의 노예제 폐지와 영국의 현상금 소식을 듣게 된다. 지친 다 실바는 배를 끌어내려 하지만 실패하고, 다리가 불편한 아프리카 남자가 그에게 다가온다. 영화는 아프리카 여성들의 노래로 끝을 맺는다.
3. 등장인물
3. 1. 주연
배우 | 역할 |
---|---|
클라우스 킨스키 | 프란시스코 마누엘 다 실바 역 |
킹 앰파우 | 타파리카 역 |
조제 레고이 | 돈 오타비오 쿠티뉴 역 |
살바토레 바실레 | 프라테르니다데 대위 역 |
페터 베를링 | 베르나베 역 |
베니토 스테파넬리 | 페드로 비센테 대위 역 |
카를로스 마요로 | 바이아주 주지사 역 |
3. 2. 조연
- 조시 루고이
- 살바토레 바실레
- 피터 베를링
- 코피 예렌키
- 베니토 스테파넬리
- 코피 브라이언
- 페드로 올리베이라
- 요란더 가르시아
- 산티아고 가르시아
- 조제 레고이
- 카를로스 마요로
4. 제작
《코브라 베르데》는 브루스 채트윈의 1980년 소설 《위다의 총독》을 바탕으로 한다.[1] 이 소설은 브라질 노예 상인 프란시스코 펠릭스 데 소자와 다호미 왕국의 게조 왕, 그리고 다호미 아마존에 대한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헤어초크는 채트윈에게 영화화를 제안했고, 데이비드 보위 또한 관심을 보이자 서둘러 판권을 확보했다.[1]
영화는 가나, 브라질, 콜롬비아에서 촬영되었다. 헤어초크는 클라우스 킨스키에게 촬영 장소 사진을 보여주었으나, 킨스키는 시에라 네바다 데 산타 마르타 산기슭과 콜롬비아 북부 과히라 반도의 세일링 곶 등 외딴 지역을 선호하며 이견을 보였다. 결국 헤어초크는 비야 데 레이바와 바예 델 카우카 주에서 촬영하기로 결정했다. 킨스키는 "헤어초크는 내가 죽은 풍경에 생명을 불어넣는다는 것을 모른다"라고 말했다.
4. 1. 헤어초크와 킨스키의 갈등
《코브라 베르데》는 베르너 헤어초크가 클라우스 킨스키와 함께 만든 마지막 영화였다. 두 사람의 성격적 갈등은 이 영화 촬영 기간 동안 최고조에 달했다. 영화 제작은 킨스키의 격렬한 분노에 큰 영향을 받았는데, 출연진과 제작진은 킨스키의 분노에 끊임없이 시달렸다. 가장 유명한 사건은 킨스키의 지속적인 언어 폭력으로 인해 영화의 초대 촬영 감독 토마스 마우흐가 촬영 현장을 떠난 것이다. 헤어초크는 마우흐를 빅토르 루지치카로 교체해야 했다.[2]헤어초크는 1999년 회고 다큐멘터리 《나의 가장 친한 적》에서 킨스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깊이 있게 다루었다. 이 영화에서 그는 두 사람의 독특한 우정, 그와 관련된 증오, 그리고 두 가지 특성이 모두 책임진 유산을 탐구한다. 《코브라 베르데》의 촬영과 헤어초크와 킨스키의 관계는 1987년 스위스 다큐멘터리 영화 《로케이션 아프리카》의 주제이기도 했다.
5. 영화 속 역사적 사실과 해석
영화의 배경은 19세기 다호메 왕국(현재의 베냉)과 브라질이다. 당시 다호메 왕국은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노예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있었다.[1] 주인공 프란시스코 마누엘 다 실바(코브라 베르데)는 브라질에서 노예 감독관으로 일하다 다호메 왕국으로 파견되어 노예 무역에 관여하게 된다.[1]
다호메 왕국은 실제로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 중 하나였으며, 노예 무역의 중심지였다.[1] 영화 속에서 묘사된 다호메 왕국의 왕 보사 아하디는 강력하고 잔혹한 통치자로 그려지는데, 이는 당시 다호메 왕국의 왕들이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며 노예 무역을 주도했던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다.[1]
영화에는 여성으로만 구성된 아마존 부대가 등장한다.[1] 이들은 실제로 다호메 왕국의 정예 부대로, 뛰어난 전투 능력으로 용맹을 떨쳤다.[1] 영화 속에서 다 실바는 아마존 부대를 훈련시켜 왕을 전복시키는 데 성공하는데, 이는 다호메 왕국 내 권력 투쟁과 아마존 부대의 역할을 보여주는 장면이다.[1]
다 실바는 노예 무역을 통해 부를 얻지만, 결국 노예 제도의 폐지와 함께 몰락한다.[1] 영화는 노예 제도가 범죄임을 인식하고 기뻐하는 다 실바의 모습을 통해 노예 제도의 비인간성과 몰락을 보여준다.[1]
참조
[1]
서적
Nomad: in the footsteps of Bruce Chatwin
http://worldcat.org/[...]
Music Box Films
2020
[2]
웹사이트
DVD Verdict Review - Cobra Verde
http://www.dvdverd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